초 도왕
"오늘의AI위키"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.
1. 개요
초 도왕은 초나라의 군주로, 성왕의 아들이며 기원전 402년 성왕이 암살당한 후 왕위에 올랐다. 조, 위, 한 삼진의 침공을 받았으나, 진나라의 중재로 강화했다. 위나라에서 망명한 오기를 재상으로 등용하여 국정 및 군제 개혁을 시도했으나, 문벌 귀족과의 갈등을 심화시켰다. 기원전 381년에 사망했으며, 오기는 도왕 사후 귀족들에게 살해되었다. 숙왕이 뒤를 이었다.
더 읽어볼만한 페이지
- 기원전 381년 사망 - 오기
오기는 중국 전국 시대의 군사 전략가이자 정치가로, 여러 나라에서 활약하며 군사적 업적을 세우고 초나라 재상으로 법가 개혁을 추진하여 부국강병을 이끌었으며, 《오자병법》을 저술했다. -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- 위 문후
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,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,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. - 기원전 4세기 중국의 군주 - 주 열왕
주 열왕은 주 안왕의 아들이자 주 위열왕의 손자이며, 기원전 374년 진나라 헌공에게 천하 통일을 암시하는 예언을 남겼고, 기원전 369년에 사망하여 동생 편이 뒤를 이었다. -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- 위 문후
위 문후는 전국시대 위나라의 군주로서 이회, 오기 등 인재를 등용하고 법가적 개혁을 통해 위나라를 강국으로 만들었으며, 법치를 통해 사회 질서를 확립하고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는 데 기여하여 전국시대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인물로 평가받는다. - 기원전 5세기 중국의 군주 - 주 위열왕
주 위열왕은 기원전 425년부터 기원전 402년까지 재위한 주나라의 왕으로, 삼가분진을 단행하여 춘추 시대를 마감하고 전국 시대를 시작하게 했다.
초 도왕 | |
---|---|
기본 정보 | |
이름 | 웅의 |
성 | 미 (羋) |
씨 | 웅 (熊) |
휘 | 의 (疑) |
시호 | 초 도왕 (楚悼王) |
신분 | |
작위 | 왕 |
국가 | 초나라 |
재위 기간 | |
재위년도 | 기원전 401년 – 기원전 381년 |
가족 관계 | |
아버지 | 성왕 |
아들 | 숙왕 웅장 |
기타 | |
시대 | 춘추전국시대 |
출생년도 | 미상 |
사망년도 | 기원전 381년 |
통치 스타일 | 도철왕 (悼哲王) |
2. 생애
초 성왕의 아들로 태어났다.[4] 기원전 402년, 성왕이 적에게 암살당한 후 왕위를 계승했다.[4] 도왕 2년(기원전 400년), 조, 위, 한 삼진의 군대가 초나라를 침공했으나, 승구까지 진군했다가 철수했다.[4]。 11년(기원전 391년)에는 삼진의 재침공으로 대량(大梁)과 유관(榆關)에서 패배했다.[4]。이에 도왕은 진나라에 중재를 요청하여 삼진과 강화할 수 있었다.[4]。 위나라에서 장군 오기가 재상 공숙좌/公叔痤중국어과 대립하고, 무후와도 사이가 좋지 않아 출분하여 초나라로 망명하였다. 도왕은 오기를 재상으로 임명했다.[7] 오기는 국정 및 군제 개혁을 단행하여 군의 강화를 꾀했지만, 초나라 문벌 귀족들과의 대립을 심화시켰다.[7] 기원전 381년, 도왕이 훙거했다.[4] 도왕의 사후, 오기는 반대파 귀족들 70여 가문의 군대에 습격당해 도왕의 유해 앞에서 사살되었으며, 왕의 유해에도 화살이 꽂혔다고 한다.[7] 아들 숙왕이 왕위를 계승했다.[4]
2. 1. 즉위 초
초 성왕의 아들로 태어났다.[4] 기원전 402년, 성왕이 적에게 암살당한 후 왕위를 계승했다.[4] 도왕 2년(기원전 400년), 조, 위, 한의 삼진의 군대가 초를 침공해 왔지만, 승구까지 진군했다가 철수했다.[4] 도왕 3년(기원전 399년), 정나라에 유관을 반환했다.[5]2. 2. 삼진과의 전쟁
도왕 2년(기원전 400년), 조, 위, 한 삼진의 군대가 초나라를 침공했으나, 승구까지 진군했다가 철수했다.[4]。 11년(기원전 391년)에는 삼진의 재침공으로 대량(大梁)과 유관(榆關)에서 패배했다.[4]。이에 도왕은 진나라에 중재를 요청하여 삼진과 강화할 수 있었다.[4]。2. 3. 오기의 등용과 개혁
위나라에서 장군 오기가 재상 공숙좌/公叔痤중국어과 대립하고, 무후와도 사이가 좋지 않아 출분하여 초나라로 망명하였다. 도왕은 오기를 재상으로 임명했다.[7] 오기는 국정 및 군제 개혁을 단행하여 군의 강화를 꾀했지만, 초나라 문벌 귀족들과의 대립을 심화시켰다.[7]2. 4. 죽음
기원전 381년, 도왕이 훙거했다.[4] 도왕의 사후, 오기는 반대파 귀족들 70여 가문의 군대에 습격당해 도왕의 유해 앞에서 사살되었으며, 왕의 유해에도 화살이 꽂혔다고 한다.[7] 아들 숙왕이 왕위를 계승했다.[4]3. 평가
3. 1. 긍정적 평가
3. 2. 부정적 평가
참조
[1]
웹사이트
楚世家 (House of Chu)
http://www.guoxue.co[...]
2012-03-01
[2]
서적
清華簡
[3]
서적
史記
[4]
서적
史記
[5]
서적
史記
[6]
서적
清華簡
[7]
서적
史記
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,정부 간행물,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.
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, CC BY-SA 4.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하지만,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, 부정확한 정보,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,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.
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,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.
문의하기 : help@durumis.com